a1 = 301 # a1 변수를 선언하고 301의 값을 저장
a2 = 401 # a2 변수를 선언하고 401의 값을 저장
a1 = a1 + 1 # a1에 있는 값과 1을 더하여 a1에 저장
a1 = 3
a2 = -55
a1 = 3.333
a2 = -55.
a3 = .2
a = 3 + 3
b = a - 3
a = b * 5
b = b / 2
a = 2 ** 3
b = a // 3
a = a % 5
기본적으로 소스코드 와 문자열 변수에 대해 유니코드(UTF-8)를 지원해 대부분의 언어가 사용 가능
a = 'apple'
b = "나는 apple을 좋아한다"
a = 'الأرنب = খরগোশ = खरगोश = กระต่าย'
खरगोश = '''
첫번째줄은 나는 길을 걷는다
두번째줄
'''
a = "Add" + "Add" # AddAdd
b = "Add" * 3 # AddAddAdd
a1 = '요구르트'
b1 = f'{ a1 }는 맛있다' # 요구르트는 맛있다
a1 = '야쿠르트'
b1 = f'{ a1 }는 맛있다' # 야쿠르트는 맛있다
a2 = 3
b1 = f'강도 {a2}명이 {a1}를 먹는다' # 강도 3명이 야쿠르트를 먹는다
li = [] # 빈 리스트 선언
li = [1,2,3,4,5,6,7,8,9] # 3개의 원소를 가진 리스트 선언
li[0] # 1번째 : 1
li[0:1] # 1번째 : [1]
li[2:4] # 3번째 부터 5번째 이후 제거 : [3,4]
li[:-1] # 처음부터 마지막칸 제거 : [1,2,3,4,5,6,7,8]
li[0::2] # 1번째 부터 마지막까지 2칸씩 이동하며 선택 : [1,3,5,7]
a = [1,2,3] # [1,2,3]
a + a # [1,2,3,1,2,3]
a * 3 # [1,2,3,1,2,3,1,2,3]
a = [1,2,3] # [1,2,3]
len(a) # 3
li = [1,2,3,4,5]
li[0] = 10 # [10,2,3,4,5]
li[0:2] = [7,8] # [7,8,3,4,5]
del(li[2]) # [7,8,4,5]
li = [1,2,3]
li + [4,5,6] #[1,2,3,4,5,6]
li.append([4,5,6]) #[1,2,3,[4,5,6]]
li.extend([4,5,6]) #[1,2,3,4,5,6]
ret = li.extend([4,5,6]) #[1,2,3,4,5,6,4,5,6], ret 는 None
li2 = [1,2,3]
li2.insert(0, 5) #[5,1,2,3]
li2.insert(1, [1,2]) #[5,[1,2],1,2,3]
li = [1,2,3]
li.sort() #[1,2,3], sort 함수는 반환값이 없음
li.sort(reverse = True) #[3,2,1] 역순 정렬
li = [3,5,3,5,1]
li = sorted(li) #[1,3,3,5,5], 결과값이 반환됨
li = sorted(li, reverse = True) #[5,5,3,3,1]
li = [3,5,3,5,1]
li.reverse() #[1,5,3,5,3] 거꾸로, 반환값 없음
li = reversed(li) #거꾸로 하는것은 같지만 값이 아닌 iterator 반환
li = [1,2,3]
total = 0
for x in li : # [1,2,3] 으르 하나씩 x에 넣어 아래 문장 반복
total = total + x
print(x) # 같은 indent 안에 있으므로 여기까지 반복 실행
total # total : 6
li = [1,2,3] # 각 원소마다 1씩 더한 결과를 갖고싶다
for x in li :
x = x + 1
li # [1,2,3] ??
슬라이싱과 마찬가지로 오른쪽 한계를 두었을때 그 값은 포함하지 않음
# 1부터 10까지 합
total = 0
for x in range(11) : # 1부터 10까지 반복
total += x
total # 55
# 팩토리얼
total = 1
for x in range(1, 11) : # 1부터 10까지 반복
total *= x
total # 3628800
# 입력값이 짝수인지 홀수인지 출력
a1 = 0
if a1 % 2 == 0 : # a1 을 2로 나눈 나머지가 0이라면
print('짝수') # 이 문장 실행
else : # 위에 해당되지 않는다면
print('홀수') # 이 문장 실행
# 두 값중 큰 숫자 출력
a2 = 1
if a1 > a2 : # a1이 클때
print(f'{ a1 }')
elif a1 < a2 : # a2가 클때
print(f'{ a2 }')
else : # 위 모두 해당되지 않는다면
print(f'{ a1 }')
a == 0 # a가 0이면 True
a is b # a와 b가 가르키는 객체가 같으면 True
a > 0 # a가 0보다 크면 True
a <= 0 # a가 0보다 작거나 같으면 True (부등호가 등호보다 먼저나옴)
a in (1,2) # a가 (1,2)에 들어있으면 True
a or b # a나 b중 하나라도 True 면 True
a and b # a와 b 모두 True여야 True
not a # a가 False면 True (다른것과 혼합 가능)
# 두수를 더하는 함수
def f_plus(a, b) : # a와 b를 입력받는(매개변수) f_plus 라는 함수 선언
ret = a + b # a와 b를 더해 ret라는 변수에 저장
return ret # ret를 반환
# 함수 호출
f_plus(1,5) # ()를 사용하여 호출 가능, 6이 반환됨
# 1부터 입력한 값까지의 합을 출력하는 함수
def f_sum(a) :
ret = 0
for i in range(a+1) :
ret += i
return ret
f_sum(10) # 55 반환
# 입력값이 짝수인지 홀수인지 출력하는 함수
def f_odd(a = 1) : # a를 입력받는데 호출시 입력안할경우 기본값 1 사용
if a % 2 == 1 :
print('odd')
else :
print('even')
f_odd() # a값을 입력하지 않아 1로 취급되어 odd 출력
# 패키지 불러오기
import numpy # numpy패키지를 불러와서 모든기능 사용 가능
# 패키지 불러와서 alias(별명) 붙이기
import numpy as np # numpy패키지를 불러와서 np란 이름으로 모든 기능 사용 가능
# 패키지에 특정 모듈 혹은 함수만 불러오기
import time.time # time패키지에 time 함수를 불러와서 time.time()으로 호출 가능
from time import time # 기능은 위와 같으나 time() 으로 호출 가능
# 학생이라는 클래스를 선언
class Student() :
# 생성시 1회 실행되는 함수 (initializer), 여기 생성시 입력 한 매개변수 사용
def __init__(self, id, name, age = None, point = 0) :
self.id = id
self.name = name
self.age = age
self.point = point
# str() 함수 재정의
def __str__(self) :
return f'{self.id}번 이름 : {self.name}\t 나이 : {self.age}\t 이수학점 : {self.point}
# maria 라는 이름의 학생형(정수형처럼 생각하면 편함) 객체 생성
maria = Student(0, 'maria', point = 30)
# bert 라는 이름의 학생형(정수형처럼 생각하면 편함) 객체 생성
bert = Student(1, 'bert', 20, point = 50)